심리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개인의 적응기능 및 역할수행능력, 사고∙인지기능, 주관적인 고통과 불편감, 정서, 성격의 구조, 대인관계, 취약성과 강점 및 자원 등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관하여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토대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효율적인 치료 과정을 진행합니다.
기억력, 집중력, 인지기능, 치매 정도와 일상생활 능력 평가 (K-MMSE, GDS, CDR, K-IADL, DADL 등)
개인의 잠재적인 지능의 수준 및 효율성, 강점과 취약성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방식, 사고의 특성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
우울, 불안, 스트레스 수준과 성격 특성을 평가 (BDI, BAI, Hamilton, 성격검사 등)
조현병, 공황장애, 아동·청소년 정서 및 행동 특성 평가 (PANSS, PDSS, K-SADS 등)
인지, 정서, 성격, 대인관계, 사회적 적응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심층 검사
뇌손상, 뇌기능 저하 등 신경학적 손상 여부와 현재 기능 수준을 평가
아동발달검사, ADHD, 직무스트레스 평가, 노인 인지재활 평가 등
주치의 진료
검사예약
검사
결과 보고서
해석 상담